2023 엔지니어링협회 임금실태 조사보고서, 2024 엔지니어링 노임단가
안녕하세요
오늘은 연초인 만큼 2023년 엔지니어링 임금실태 조사 및 엔지니어링 기술부문별 기술자 평균임금을 소개해드릴려고합니다.
매년 12월에 엔지니어링협회에서는 임금실태조사결과를 공표하는데요
이를 통해 관련분야에서는 기본 노임단가로 사용하게 됩니다.
기술부문은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 시행령제3조에 따른 별표1을 기준으로 합니다.
기술부문
구분 | 기술부문(전문분야) |
기계·설비 | 기계부문(일반산업기계, 차량, 용접, 금형), 설비부문(설비) |
전 기 | 전기부문(전기설비, 전기전자응용) |
정보통신 | 정보통신부문(정보통신, 정보관리, 철도신호) |
건 설 | 건설부문(도로·공항, 항만·해안, 철도, 교통, 농어업토목, 도시계획, 조경, 구조, 수자원개발, 상하수도, 토질·지질, 측량·지적, 품질시험) |
환 경 | 환경부문(대기관리, 수질관리, 소음·진동, 폐기물처리, 자연·토양환경) |
원 자 력 | 원자력부문(원자력·방사선관리, 비파괴검사) |
기 타 | 선박부문(조선), 항공우주부문(항공), 금속부문(금속), 화학부문(화공), 광업부문(자원관리, 광해방지), 농림(농림, 시설원예), 해양·수산(해양), 산업부문(생산관리, 포장·제품디자인, 산업안전, 소방·방재, 가스, 섬유, 나노융합, 체계공학, 프로젝트매니지먼트) |
이처럼 다양한 분야들이 있는데요
노임단가 이미지
위에 해당되는 분야들은 노임단가에 영향을 받으신다고 보시면 됩니다.
또한 올해의 월평균근무일수 : 20.6일(247일/12개월) 꼭 확인하셔서 물가변동 진행시 착오가 없으시길 바랍니다.
2022년 또한 20.6일이었고 21년 임금실태 조사공표에는 22일 이었습니다.
저도 작년 한해동안 이 근무일수를 착오하여 난감했던 경험이 있네요
아래에 나온 근무일수는 1인 1일 근무 기준입니다.
1월 근무월수를 계산하자면 건설분야 특급기술자 기준 : 446,055*20.6=9,188,733원,월
이 되겠네요
참고하시어 업무에 도움이 되시시길 바라겠습니다.
또한 22년ㄴ부터는 근로기준법 제 55조 2항에 근거하여 5인이상의 사업장에적용이 되니 참고부탁드립니다.
마지막으로 참고하실만한 사이트 안내드리겠습니다.
ETIS 엔지니어링종합정보시스템 : https://www.etis.or.kr/bbsView.do
여기서 노임단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